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6

나라배움터 이순신장군의 청렴리더십 정답 답안(2) 오늘은 나라배움터 이순신장군의 청렴리더십 강의의 정답 답안을 올려드리겠습니다. 공무원이라면 들어야 하는 청렴 강의 중 하나입니다. 이 포스팅에서 찾으시면 80점 이상 무난하게 받으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문항이 많아 나눠서 포스팅했으니 링크 클릭하셔서 다른 포스팅에서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은 컨트롤 + F로 찾으시면 됩니다. 41. 명량해전이 끝난 후 이순신장군과 수군이 안착한 섬으로, 한산도의 10배에 달하는 기적을 만든 섬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정답 : 2) 고금도 42. 명량해전은 승리로 끝났지만 군사와 백성들이 먹을 양식도 옷도 없고 잠잘 수 있는 가옥도 없었습니다. 이를 위해 이순신장군이 마련한 비책은? 정답 : 2) 해로통행첩 43. 대장정이 끝난 후 이순신장군이 얻은 수군의 기.. 2023. 2. 25.
나라배움터 이순신장군의 청렴리더십 정답 답안(1) 오늘은 나라배움터 이순신장군의 청렴리더십 강의의 정답 답안을 올려드리겠습니다. 공무원이라면 들어야 하는 청렴 강의 중 하나입니다. 이 포스팅에서 찾으시면 80점 이상 무난하게 받으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문항이 많아 나눠서 포스팅했으니 링크 클릭하셔서 다른 포스팅에서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은 컨트롤 + F 로 찾으시면 됩니다. 이순신장군의 청렴리더십 1. 이순신장군을 '일본이 영국처럼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을 만들 기회를 빼앗은 인물'로 평가한 인물은 누구일까요? 정답 : 2) 짐 프리드만 2. 영국이 스페인무적함대와 맞서 싸워 해양 국가로 급성장하게 된 계기를 마련한 해전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정답 : 1) 칼레 해전 3. 칠천량해전 패전 후 이순시장군은 권율장군의 요청으로 수군재건을 위한.. 2023. 2. 25.
나라배움터 역사속에서 찾은 청렴이야기 정답 답안(3) 나라배움터 청렴강의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이야기 시험 정답 답안입니다. 최대한 인물별로 지문을 구별해 놓았습니다. 여기 있는 지문으로만 80 점 이상 충분히 가능하십니다. 그리고 양이 많아서 페이지 몇 개로 나눠놨으니 해당 페이지에 없으시면 링크 클릭하셔서 다음 페이지 넘어가셔서 검색하시면 됩니다. 검색은 컨트롤+F 하시면 됩니다. 1. 곡좌곡좌란 윗사람이 같이 앉을 때 상대방에게 존경을 표시하기 위해 마주 앉지 않고 조금 돌아앉는 것을 말한다.2. 공무원행동강령공무원 행동강령상 이권개입을 명시적으로 금지된다.공무원 행동강령상 공용물의 사적 사용 수익은 금지된다. 3. 도덕성도덕성 평가와 업적의 평가는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4. 권위권위란 “자리”가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람”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며.. 2023. 2. 23.
나라배움터 역사속에서 찾은 청렴이야기 정답 답안(2) 나라배움터 청렴강의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이야기 시험 정답 답안입니다. 최대한 인물별로 지문을 구별해 놓았습니다. 여기 있는 지문으로만 80 점 이상 충분히 가능하십니다. 그리고 양이 많아서 페이지 몇 개로 나눠놨으니 해당 페이지에 없으시면 링크 클릭하셔서 다음 페이지 넘어가셔서 검색하시면 됩니다. 검색은 컨트롤+F 하시면 됩니다. 이시백 탁월한 업무능력으로 영의정까지 이르렀다. 그의 집은 청빈한 선비의 집 같았다는 말이 전해질 정도로 바른 성정을 지닌 인물이었다. 이시백의 태도는 바람직한 공직생활의 나침반 역할을 하고 있다.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인조반정으로 공을 세워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수어사로 활약하는 등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다. 바른 성정을 지닌 사람으로 볼 수는 없다.(.. 2023. 2. 23.
나라배움터 역사속에서 찾은 청렴이야기 정답 답안(1) 나라배움터 청렴강의 역사 속에서 찾은 청렴이야기 시험 정답 답안입니다. 최대한 인물별로 지문을 구별해 놓았습니다. 여기 있는 지문으로만 80 점 이상 충분히 가능하십니다. 그리고 양이 많아서 페이지 몇 개로 나눠놨으니 해당 페이지에 없으시면 사진 클릭하셔서 다음 페이지 넘어가셔서 검색하시면 됩니다. 검색은 컨트롤+F 하시면됩니다. 백인걸백인걸은 태조 대에 청백리로 뽑히기도 하였다.(X)선조 대의 인물로 모든 관료를 규찰하며 풍속을 바로잡고, 외람되고 거짓된 것을 금하는 대사헌, 대사간 등의 청직(淸職)에 몸담았다.일흔한 살의 나이에 이르러서야 홍문관의 교리라는 명예로운 직책에 이르렀다. 늦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의에 살고 의에 죽는’ 백인걸의 태도가 인정받은 결과였다.청렴결백으로 백인걸은 선조 대에 청백.. 2023. 2. 23.